음흉음흉 배민 다크패턴



17284357806295.jpg

최근 업데이트된 배달의 민족 UI
깔끔하고 예쁘게 디자인 되어 있다



17284357827818.jpg

앱을 실행하고 첫 화면을 보면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는 '음식배달' 탭을 볼 수 있다
탭 이름에 맞게 여러 가지 음식 카테고리들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17284357838997.jpg

옆에 있는 '가게배달' 탭을 눌러도 똑같이 음식 카테고리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17284357846971.jpg

??? 뭐가 다른 거지



17284357870083.jpg

먼저 '음식 배달'에 들어가 봤다
카테고리별 각종 가게 목록과 판매하는 음식 사진들을 볼 수 있어 유용하다

그렇다면 '가게배달'은?



17284357887952.jpg

가게배달 역시 가게 목록은 나온다
그러나 음식 이미지는 나오지 않는다

눈치 챈 싱붕이들도 있겠지만 이건 과거 배민 UI 다



17284357898011.jpg

뭔 차이임? 걍 눈에 잘 들어오는 음식배달에서 고르면 되는 거 아님?

그렇지 않다
다음 예시를 살펴보자



17284357915022.jpg

부산의 한 초밥집을 '음식배달'에서 들어가 본 사진이다
배달팁이 알뜰배달 기준 기본 2,500원으로
배달팁이 보통 3,000원은 거뜬히 넘는 요즘 물가와 비교해서는 저렴한 편이다

그러나



17284357936691.jpg

같은 가게를 '가게배달' 탭에서 들어가보면
배달팁이 무료다!!!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



17284357950324.jpg

정리하자면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7284357960316.jpg

가게배달: 기존 일반 배달대행
음식배달: 배민을 통한 배달대행

가게와 배달대행 사이에 배민을 거치는 단계가 추가되는 '음식배달'이 당연히 수수료가 더 붙어 배달료가 비싸지게 되는 것



17284357969313.jpg

그럼에도 '음식배달'이라는 미묘한 네이밍,
앱을 켜자마자 가장 먼저 노출된다는 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까지

사실상 배민을 통한 '음식배달'을 이용할 수밖에 없게끔 교묘히 유도하고 있다



17284357979793.jpg

이를 모르는 일반 소비자는 영문도 모른 채 배민을 통한 '음식배달'을 이용하게 되고
결국 더 비싼 배달료를 지불하게 되는 것이다



17284357989382.jpg

이러한 교묘한 방식을 전문 용어로 '다크 패턴'이라고 하는데



17284358000151.jpg

배민의 경우 위의 '특정 옵션 사전 선택'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




17284358006296.jpg

소비자를 우롱하는 이런 다크 패턴들이 하루 빨리 없어지면 좋겠다


새 유저3706445153

© . All Rights Reserved.